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내 PC 속도가 느려진 이유? 윈도우11 메모리 사용량,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해결하는

by 14jdkf1 2025. 10. 25.
내 PC 속도가 느려진 이유? 윈도우11 메모리 사용량,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해결하는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내 PC 속도가 느려진 이유? 윈도우11 메모리 사용량,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해결하는

궁극의 가이드!

목차

  1. 서론: 메모리 사용량 확인이 필수인 이유
  2.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 작업 관리자 활용
    • 작업 관리자 실행하기
    • '성능' 탭에서 전체 사용량 확인하기
    • '프로세스' 탭에서 개별 사용량 분석하기
  3. 전문적인 분석을 위한 도구: 리소스 모니터 활용
    • 리소스 모니터 실행 및 개요
    • '메모리' 탭 자세히 살펴보기
  4.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텍스트 기반 확인 (Power User를 위한 팁)
  5. 메모리 사용량을 줄여 PC 속도를 개선하는 실질적인 팁
    •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 비활성화
    • 사용하지 않는 백그라운드 앱 종료
    • 브라우저 탭 관리 및 확장 프로그램 점검
    • 슈퍼페치(Superfetch) 또는 프리페치(Prefetch) 서비스 확인
  6. 결론: 쾌적한 윈도우11 환경을 위한 메모리 관리의 중요성

서론: 메모리 사용량 확인이 필수인 이유

여러분의 윈도우11 PC가 갑자기 버벅거리거나, 프로그램 전환 속도가 느려지는 경험을 해보셨나요? 💻 많은 경우, 그 원인은 메모리(RAM) 사용량의 과부하에 있습니다. 메모리, 즉 **RAM (Random Access Memory)**은 PC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으로, 이 공간이 부족해지면 PC는 느려지거나 멈추게 됩니다. 특히 윈도우11은 이전 버전보다 더 많은 리소스를 요구하기 때문에 메모리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내 PC의 메모리가 과연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프로그램이 메모리를 잡아먹고 있는지 쉽고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쾌적한 컴퓨팅 환경을 위한 첫걸음입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윈도우11 환경에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부터 전문적인 분석 도구 활용법까지, 모든 것을 상세하게 알려드립니다.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 작업 관리자 활용

윈도우11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이자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은 바로 **작업 관리자(Task Manager)**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 도구 하나만으로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태와 개별 프로세스의 리소스 사용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작업 관리자 실행하기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권장되는 방법은 단축키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 가장 빠른 단축키: Ctrl + Shift + Esc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 다른 방법: Ctrl + Alt + Del 키를 누른 후 목록에서 '작업 관리자'를 선택합니다.
  • 검색: 윈도우 검색창에 '작업 관리자'를 입력하여 실행합니다.

'성능' 탭에서 전체 사용량 확인하기

작업 관리자가 실행되면, 화면 왼쪽의 탭 목록에서 '성능' 탭을 클릭합니다. 이 탭에서는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GPU 등 시스템의 주요 하드웨어 리소스 사용 현황을 실시간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 메모리(Memory): 항목을 클릭하면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총 RAM 용량과 현재 **사용 중(In Use)**인 용량, 사용 가능한(Available) 용량, 그리고 그래프를 통해 메모리 활용률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커밋됨(Committed): 현재 시스템이 커밋(할당)한 메모리 양으로, 실제 RAM뿐만 아니라 가상 메모리(페이징 파일)까지 포함한 총 사용량입니다. 이 값이 시스템의 총 메모리(RAM + 가상 메모리)보다 높으면 성능 저하의 주원인이 됩니다.
  • 페이징 풀/비페이징 풀(Paged/Non-paged pool): 윈도우 커널이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으로, 드라이버와 시스템 프로세스 등이 사용합니다.

'프로세스' 탭에서 개별 사용량 분석하기

전체 사용량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면, 이제 어떤 프로그램이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는지 세부적으로 살펴볼 차례입니다.

  1. '프로세스' 탭으로 이동합니다.
  2. 표 상단의 열 이름 중 **'메모리'**를 클릭하여 현재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순서대로 정렬합니다. 화살표 방향을 확인하여 내림차순 정렬이 되도록 설정합니다.
  3. 상위 목록을 확인하여 현재 사용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앱(App)**이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Background process)**를 찾아냅니다.
  4. 문제가 되는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오른쪽 아래의 '작업 끝내기' 버튼을 클릭하여 강제로 종료할 수 있습니다. 단, **'Windows 프로세스'**에 속하는 항목은 시스템 구동에 필수적일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종료해야 합니다.

전문적인 분석을 위한 도구: 리소스 모니터 활용

작업 관리자가 전반적인 상황을 빠르게 보여준다면, **리소스 모니터(Resource Monitor)**는 메모리 사용량을 훨씬 더 세밀하고 전문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윈도우의 고급 도구입니다.

리소스 모니터 실행 및 개요

리소스 모니터는 작업 관리자를 통해 쉽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1. 작업 관리자의 '성능' 탭으로 이동합니다.
  2. 하단에 있는 '리소스 모니터 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또는 윈도우 검색창에 '리소스 모니터' 또는 resmon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메모리' 탭 자세히 살펴보기

리소스 모니터가 열리면 '메모리' 탭을 클릭합니다. 이곳에서는 작업 관리자보다 더 상세한 메모리 상태 정보를 막대 그래프와 목록으로 제공합니다.

  • 하드웨어 사용: 화면 상단의 그래프는 **'사용 가능', '수정됨', '대기', '사용 중'**의 4가지 상태로 메모리를 분류하여 보여줍니다.
    • 사용 중(In Use): 현재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
    • 수정됨(Modified): 디스크에 기록되기를 기다리는 메모리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 수는 없지만, 시스템이 데이터를 보관 중인 상태.
    • 대기(Standby): 캐시(Cache)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로, 어떤 프로세스도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다음에 해당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
    • 사용 가능(Free): 비어 있는 메모리.
  • 프로세스별 세부 정보: 아래 목록에는 각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하드 오류/초(Hard Faults/sec)', '커밋(Commit)', '작업 집합(Working Set)' 등 매우 상세한 정보가 표시됩니다.
    • 하드 오류/초: 이 수치가 높다는 것은 PC가 RAM 대신 **하드 디스크(페이징 파일)**를 사용하여 메모리를 처리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곧 시스템 속도 저하의 주범이 되므로, 이 값이 지속적으로 높은 프로세스가 있다면 조치가 필요합니다.
    • 작업 집합: 해당 프로세스가 현재 RAM에 실제로 로드하여 사용 중인 물리적 메모리 양입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텍스트 기반 확인 (Power User를 위한 팁)

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없이 **명령 프롬프트(Command Prompt)**나 PowerShell을 이용해 메모리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스크립트를 작성하거나 원격으로 서버를 관리할 때 유용하며, 매우 빠른 텍스트 기반 정보를 제공합니다.

  1.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윈도우 검색창에 cmd를 입력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2. 명령어 입력: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Enter)를 누릅니다.
    • TotalPhysicalMemory: 설치된 전체 물리적 메모리 용량을 바이트 단위로 출력합니다.
    • FreePhysicalMemory: 현재 사용 가능한 물리적 메모리 용량을 킬로바이트(KB) 단위로 출력합니다.
  3. wmic ComputerSystem get TotalPhysicalMemory wmic OS get FreePhysicalMemory
  4. PowerShell 사용: PowerShell을 실행한 후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더욱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5. Get-CimInstance -ClassName Win32_OperatingSystem | Select-Object FreePhysicalMemory, TotalVisibleMemorySize

메모리 사용량을 줄여 PC 속도를 개선하는 실질적인 팁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을 넘어, 이제는 시스템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량을 줄이는 실질적인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 비활성화

PC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어 메모리를 점유하는 시작 프로그램이 많으면 많을수록 부팅 속도가 느려지고 메모리 사용량이 높아집니다.

  1. 작업 관리자를 열고 '시작 앱' 탭으로 이동합니다.
  2. 목록에서 사용 빈도가 낮거나 중요하지 않은 프로그램들을 찾아 **'상태'**를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백그라운드 앱 종료

윈도우11은 사용자가 직접 실행하지 않아도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며 데이터를 동기화하거나 알림을 제공하는 앱들이 있습니다.

  • 설정 > 앱 > 앱 및 기능으로 이동하여 필요 없는 앱을 제거하거나, 설정 > 개인 정보 및 보안 > 백그라운드 앱에서 특정 앱의 백그라운드 실행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탭 관리 및 확장 프로그램 점검

웹 브라우저(크롬, 엣지 등)는 오늘날 가장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주범 중 하나입니다. 수십 개의 탭을 열어두는 습관은 메모리를 빠르게 소진시킵니다.

  • 탭 최소화: 사용하지 않는 탭은 닫거나, '탭 절전 기능'이 있는 브라우저를 사용하세요.
  • 확장 프로그램 정리: 불필요하거나 과도하게 메모리를 잡아먹는 확장 프로그램은 제거하거나 사용을 중지합니다.

슈퍼페치(Superfetch) 또는 프리페치(Prefetch) 서비스 확인

Superfetch (윈도우 10 이후 SysMain으로 변경)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미리 예측하여 메모리에 로드해두는 기능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지만, 메모리가 부족한 일부 환경에서는 오히려 메모리 과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services.msc를 실행하여 'SysMain' 서비스를 찾아 이 기능을 비활성화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기능은 일반적으로 켜두는 것이 권장되므로, 다른 모든 조치 후에도 문제가 지속될 경우에만 시도해봅니다.

결론: 쾌적한 윈도우11 환경을 위한 메모리 관리의 중요성

윈도우11 메모리 사용량을 작업 관리자리소스 모니터를 통해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메모리 관리는 단순히 PC 속도를 높이는 것을 넘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주기적으로 메모리 사용량을 점검하고, 불필요한 리소스 점유 프로세스를 정리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여러분의 윈도우11 PC는 항상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쾌적하고 막힘없는 컴퓨팅 환경을 경험하세요!

 

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참고자료 보기

 

반응형